▲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은 고용 안정의 결여, 직장과 사생활의 균형, 대인관계, 높은 업무량 등이 있다(출처=셔터스톡)

스트레스는 특정 상황에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업무량 증가와 관련된 직장 내 스트레스는 근로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최근 한 연구팀이 직장 내 스트레스로 부담이 가중된 성인 직장인의 행복을 개선할 수 있는 실험을 했다. 로열할로웨이런던대학의 연구팀은 성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행복을 촉진할 수 있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산업 및 조직심리학 저널(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에 발표됐다.

직장 내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이니셔티브

미국스트레스협회(American Institute of Stress)에 따르면,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은 고용 안정성의 부재, 직장과 사생활 사이에서의 균형, 대인관계 문제, 높은 업무 부담 등이었다. 4가지 원인 중 높은 업무 부담이 전체 스트레스 원인 중 46%를 차지했으며 그다음이 대인관계 문제(28%)였다. 직장과 사생활 균형 문제가 20%를 차지했으며 직업 안정성 문제는 6%였다.

연구팀은 온라인으로 자조적 목표 설정 및 계획, GAP 개입을 했다. 개입은 성인 근로자의 행복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됐다. 연구팀은 개입의 효과와 함께 3개월 후 효과의 안정성을 테스트하길 원했다.

연구팀은 연구를 개시하고 영국 공무원 중 피험자를 모집했다. 총 307명이 실험에 등록했으며, 피험자들을 무작위로 선정해 통제군 또는 GAP 개입군에 배정했다. 통제군에 배정된 피험자들도 GAP 개입을 제공하기 위해 이후 교차 시험했다.

GAP 시험군에는 158명이 배정됐고 간단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교육 프로그램은 피험자들이 개인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고안됐다. 피험자들은 5주간 주당 30분씩 시간을 들여 개인적인 가치와 연관 있는 구체적인 목표를 확인했다. 각각의 피험자들은 목표 달성 방법과 장애물 해결 방법, 필수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을 세울 것을 요청받았다. GAP 개입군 피험자들이 밝힌 목표는 운동 프로그램 등록부터 가족과의 시간까지 광범위했다.

프로그램에는 피험자들에게 유익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이 포함되어 있었다.

1 행복 개입은 임상 환경에서 이미 입증된 것이며, 약간의 변화로 직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2 프로그램은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피험자들은 가정이나 직장에서 언제나 접속할 수 있다.

3 훈련 설계는 삶의 목표에 따라 개인별로 변경 가능하다.

개입 후 행복 측정​

연구팀은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 척도(PANAS), 삶의 만족도 척도 등을 사용해 피험자의 행복을 측정했다. 척도는 개입 전과 개입 후, 3개월 후 총 세 번을 측정했다.

"런던 인근의 매우 바쁜 병원에서 가족들과 함께 근무하고 있다. 매일 스트레스에 찌들어 있고 일과 가정 사이에서 곡예하듯 생활하는 부모님의 모습을 봐야 한다. 삶의 행복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중점을 둔 행복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보다 행복하고 건강해진 기분이다"라고 이번 연구의 저자인 제레미 올리버 박사는 테스트에 참여한 후 이같이 말했다.

프로그램 개입 후, 연구팀은 GAP 개입군 피험자들이 PANAS 척도 결과에서 긍정적 정서가 상당히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험했던 다른 척도들에서도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아졌다. 온라인 훈련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영향은 개입 3개월 후에도 지속했다. 프로그램을 이수한 GAP 피험자들은 전체적으로 행복 수준이 개선됐다. "다음 단계는 직장 내에서 프로그램을 시험하는 것"이라고 올리버 박사는 덧붙였다.

▲직원들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업무 효율이 줄어들고 동기 부여를 받지 못한다(출처=셔터스톡)

직장내 스트레스란?

CDC의 보고서에 따르면, 직장인 중 40%가량이 업무로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25%가량은 일을 인생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간주했다.

스트레스는 삶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요소이지만, 주요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직장인들은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업무 효율이 줄어들고 동기 부여가 없어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할 경우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이 커지며 고용 안정이 결여된다.

[메디컬리포트=김성은 기자]

저작권자 © 메디컬리포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