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한 주사로 땅콩 알레르기 반응을 최대 6주간 중단할 수 있는 치료법이 개발됐다(사진=123rf)

땅콩 알레르기 반응을 최대 6주 가량 억제할 수 있는 항체 주사가 개발됐다. 

스탠포드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항체 주사는 2주에서 6주 동안 땅콩 알레르기를 억제할 수 있다. 항체 주사를 맞은 사람들은 땅콩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지만 그럼에도 적당량의 땅콩을 먹을 수 있었다.

땅콩 알레르기 항체 주사

아나필락시스는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치명적인 반응이다. 이 증상이 나타나면 호흡이 곤란해지고 혈압이 떨어지며 맥박이 줄어들어 생명에 위협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아나필락시스는 병원 응급실에서 치료해야 하며 즉각적인 의료 개입이 필요하다. 

대두류에 중증의 반응이 있는 사람이라면 땅콩 알레르기는 아나필락시스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량의 땅콩이 든 식품에도 치명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스탠포드대학 연구진은 땅콩 알레르기 모델에 대한 항체 주사의 효능 및 안전성을 테스트했다. 에토키맙(etokimab)이라고 하는 이 치료법은 면역 신호 분자를 방해해 알레르기 반응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주사를 환자에게 처치하면 땅콩에 대한 면역 반응을 중단시키고 적당량의 땅콩을 먹을 수 있게 된다.

고 카리 나도 박사는 "이 실험은 아직 실험 단계지만 다른 알레르기 질환에도 효능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된다"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땅콩에 중증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성인 20명이 참여했으며 이중 눈가림 방식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20명의 피험자 중 15명은 에토키맙을 처치했으며 5명에게는 위약을 처치했다. 그리고 15일 후 후속 조사를 실시했다. 

피험자들은 땅콩 한 알에 상당하는 275mg의 땅콩 단백질을 섭취했다. 그리고 에토키맙을 처치 받은 피험자 15명 중 11명은 어떠한 알레르기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위약 집단의 피험자들 중 어느 누구도 알레르기 반응 없이 땅콩을 먹을 수 없었다.

그리고 처치를 하고 45일 후 또 다른 후속 조사를 실시했다. 에토키맙을 처방 받은 피험자 7명 중 4명은 땅콩 테스트를 또 다시 통과했다. 한편, 위약 집단에서는 어느 누구도 안전하게 땅콩을 먹을 수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 에토키맙은 땅콩 알레르기를 2주에서 6주 동안 중단시킬 수 있었다.

아나필락시스는 호흡 곤란과 혈압 강하, 맥박수 감소 등을 유발한다(사진=123rf)

에토키맙의 메커니즘

항체 치료의 표적은 면역 신호 분자인 인터류킨-33의 작용이다. 치료제는 IL-33의 작용을 방해해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동결시킨다. 예를 들어, IL-33을 촉발하는 대두류를 섭취하는 경우 면역글로불린 E라고 하는 또 다른 면역 작동자가 소환된다.

땅콩 알레르기의 IL-33 활동성을 중단시킨다는 것은 IgE가 활동하는 것을 막는 것이 핵심이다. 연구 15일차 에토키맙 피험자 그룹의 혈액 샘플에서 땅콩에 반응하는 IgE의 수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항체 치료를 통해 일시적으로 알레르기 면역 반응이 줄어든 것이다. 그리고 에토키맙을 처치한 피험자들은 중증의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임상시험이 성공적으로 끝나자 더 많은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은 치료제로 혜택을 보는 사람들의 생물지표를 찾기를 바라고 있다. 더 나아가, 에토키맙 처치 시간과 투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려고 한다.

땅콩 알레르기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촉발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알레르기 중 하나다. 해가 갈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증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서만 2010년 땅콩 알레르기가 있던 아동의 수가 21% 증가했다.

이처럼 땅콩 알레르기 유병률이 높아지자 증상과 중증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치료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경구용 면역요법보다 빠르게 작용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경구용 면역요법으로는 땅콩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는 있지만, 이는 반작용도 유발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감독이 필요하다. 환자들은 가능한 한 빠른 반응이 나타나고 효능도 최소 몇 주에서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는 치료제를 필요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컬리포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