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 문제는 심각한 위험성을 불러올 수 있다(출처=셔터스톡)

대학이라는 곳은 성인으로 접어든 젊은 학생들의 열정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새로운 환경과 공간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 경쟁을 해야하는 중압감과 대학 졸업후의 진로에까지 신경을 써야하는 학생들은, 이러한 공간에서 더욱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이는 향후 정신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심각하다. 대학생들이 겪는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를 회복하는데 필요한 정서적 탄력성에 대해 살펴보자.

대학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

브리검 여성병원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많은 대학생들이 우울증과 불안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15년 진행된 미국 대학 건강 평가(ACHA-NCHA)의 자료를 검토, 분석했는데 그 결과 학생들은 우울증와 불안증, 자해, 자살 충동, 자살 시도 등의 경험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4명 가운데 3명은 지난 한해 동안 최소 한 번 이상의 스트레스 유발 사건을 겪었다고 답했다. 10명 중 2명은 이러한 스트레스 유발 경험이 5번 이상이나 됐다고 응답했다. 연구의 수석 저자이자 심리학자인 신디 리우 박사는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 결과는 대학생들이 실제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는 미국 내 100군데 이상의 교육 기관에서 수학하는 6만 7000명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는 정신 건강 문제뿐 아니라 자살 충동 등의 경향도 대학이라는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는 점도 알아냈다. 학생들의 1/4가량은 정신 건강 장애 진단이나 치료법을 공유한 적이 있으며, 1/5는 자살 충동을 느겼던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리고 약 20%는 자해, 9%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성적 소수자들의 정신 건강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양성애자들의 절반 이상은 자해와 자살 충동을 느낀 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1/4가량은 이러한 생각을 실제로 시도한 적이 있었다고 답했다. 성적 소수자들은 이성애자들과 비교할때 자살과 관련한 생각이나 충동이 2~3배 더 높았다. 트렌스젠더의 경우 정신 건강 진단 및 자살률이 가장 높았는데, 3명 중 2명은 자해를, 3명 중 1명은 자살을 시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회복탄력성은 학생들의 트라우마를 긍정적인 행동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서적 회복탄력성의 중요성

이처럼 각종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 문제를 겪고 있는 대학생들은 주변 환경에서 통제할 수 없는 요인들이 많은 관계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들을 제대로 대처할 수 없다. 이에 적절한 대처 방안을 배우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미디어 매체 인콰이어러는 이와 관련해, 정서적 회복탄력성(emotional resilience)이 가장유익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트라우마를 긍정적인 행동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 이와 관련, 자살로 인한 청소년 사망을 예방하는 단체인 제드 재단의 의료 책임자인 빅터 슈와르츠는, 정서적 회복탄력성이 학생들이 갖는 평생동안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이른바 '최고의 완충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망에서 회복하고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스스로 돌보는 것은 인간의 일상적인 생활 기술이지만, 사실 많은 이들이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란 쉽지 않다. 이번 연구는 이를 잘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인콰이어러가 인용한 또다른 연구에서도, 신입생의 경우 3명 중 1명은 매일매일 받는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한 바 있다.

매체는 정서적 회복탄력성은 학생들의 중독 및 자살 비율을 줄이기 위해 전문가들이 확립한 원칙이자 개념이라며, 학업 성과와 졸업 및 장기적인 커리어 성공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학생들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일부 기관 및 단체들도 있다. 한 예로, 마리사 비체레가 설립한 자나 마리 재단은, 마인드매터스라는 온라인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다. 이 커리큘럼은 6~12학년의 모든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젊은 성인들은 학문이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배울 수 있다. 학생들은 또한, 스트레스 대처 방안과 긍정적 사고 방식 개발도 익힐 수 있다. 매체에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한 제니퍼 리처드는 한때 학업 성취에 너무 집중했었지만,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간후 각종 연극과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면서 진정한 실제 생활에서의 휴가를 얻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시간 관리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기술을 개발하고 발전하는데도 도움이 되었다고 그는 덧붙였다. 또한, 필라델피아에 소재한 프렌즈 병원의 정신과 의사인 카림 살람은 아이들이 더 일찍부터 회복탄력성을 배울수록 더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 문제를 더 잘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임감과 독립성을 갖출 수 있다는 것. 리우 박사는 학생들이 이런 모든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학교는 여전히 힘든 곳이지만, 지원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고 꿈꿀 수 있으며, 항상 자신을 지지하는 가족과 친구들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는 의미다.

[메디컬리포트=고진아 기자]

저작권자 © 메디컬리포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