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적 자기 조절이란 상황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출처=셔터스톡)

감정(정서)이라는 것은 인간이 일상을 살아가면서 겪는 매우 기본적인 경험이다. 또한, 특정 사건이나 사물, 혹은 동료 등 주변 대상에 대한 감정 반응은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겪는 이러한 감정을 일부러 억누르고 억압하는 것은 물론 이상적인 행동은 아니지만, 감정에 너무 치우치는 것도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감당할 수 없다면, 스트레스를 극복하는데도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장애나 정신병으로 발전할 수도 있어 위험하다. 감정적 자기 조절이 왜 중요하며,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감정의 정의

한 연구에 따르면 감정은 현재나 과거의 상호작용 혹은 예상 등이 환경과 관련되어지면서 나타내는 모든 다양한 측면의 주관적 감정이다. 연구의 저자인 클라우디오 로바자와 몬세 루이즈는 감정이 정서적, 인지적, 동기부여적, 생리적, 표현적 그리고 행동적 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상호연관된 심리적 과정을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이들 요소는 모두 개인의 감각력을 높이고 중요한 자극을 파악하며 행동 반응을 준비하고, 기억하고 사교 활동을 하면서 조정하고 수행하는데 도움을 준다.

기능적 감정은 또한 개인이 어떠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특정 요구 사항을 조정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않는 감정은 자원 부족과 잘못된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만들 수 있다.

감정적 자기 조절이란

감정적 자기 조절이란 상황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감정적 자기 조절을 감정의 질이나 강도나 기간을 담당해, 감정적인 경험을 통제하려는 노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감정을 제대로 조절하려면

인간은 몇 가지의 감정적 자기 조절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설명될 수 있다.

* 즐거움의 전략(Savoring Strategies)

세이보링(Savoring)은 향유, 혹은 음미, 기분좋은 이라는 긍정적인 의미의 표현으로, 삶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다음과 같은 행동이 포함될 수 있다.

1. 행동 표현 : 비언어적인 행동으로 인간의 긍정적인 감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출된 표정이 감정의 주관적인 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2. 현재를 즐겨라 : 현재의 순간에서 민끽하는 즐거운 경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전략은 긍정적인 감정의 재현과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3. 기회 포착 :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들과 함께 축하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영향과 더 나은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4. 긍정적인 정신 시간 여행(긍정적 MTT) : 자신의 삶에서 일어난 긍정적인 상황에 대한 기억을 불러일으키고, 더 긍정적인 경험이 발생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행동이다.

▲감정적 자기 조절에 있어 즐거움(SAVORING) 전략을 취해 긍정적인 경험을 증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약화 전략(Dampening Strategies)

반대로 약화 전략은 긍정적인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억압 : 긍정적인 감정을 억누르는 것으로, 종종 두려움이나 수줍음 등의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긍정적인 감정을 억압하려는 이러한 성향은 심리적 안녕과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긍정적 상황에 대한 주관적인 즐거움을 더욱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2. 주의 산만 : 긍정적인 사건과 관련이 없는 활동이나 생각 등으로, 주로 근심이나 걱정, 우려의 형태로 올 수 있다. 이처럼 긍정적인 사건에 집중하지 못할 경우, 장기적인 정서적 안녕에도 해를 끼치게 된다.

3. 흠잡기 : 긍정적인 상황에서의 부정적인 부분이나 혹은 다르게 행동했더라면 상황을 더 좋게 만들었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흠을 발견하고 책망하는 것은 자부심을 비롯해 삶과 행복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부정적인 정신 시간 여행(부정적 MTT) : 긍정적인 사건을 외부 속성과 연결해 강조하는 것과, 나쁜 상황이 미래에 일어날 것을 기대하는 것의 2가지 행동으로 분류된다.

먼저 첫 번째의 경우, 예를 들어 학생들이 성적표에서 A를 받은 유일한 이유를 시험이 쉬웠기 때문이라고 믿는 것으로, 자신의 실력보다 외부 요인에 더욱 집중하는 것이다. 두 번째의 경우, 최근에 발생한 긍정적인 사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실에 너무 익숙해지면 안된다며 애써 외면하는 행동이다.

감정적 자기 조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솔로몬이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과거 철학자들은 이성적으로 사고하면서 행복을 얻을 수 있으려면, 감정적인 충동을 잘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한 한 연구에서도, 감정적 표현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면 특정 상황의 필요에 맞게 행동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스테판 코트와 그의 팀은 인간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태도와 목표, 의도를 전달하는데 성공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로 인한 보상 가능성도 더 높다는 것. 이어 상황에 맞는 요구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은 웰빙과 성공의 신호와도 연결되있다고 덧붙였다.

결론적으로 과거의 긍정적인 사건을 기억하고, 지금 순간의 즐거움을 느끼면서, 미래의 긍정적인 사건을 기대하는 이런 일련의 행동은 곧 높은 수준의 행복감을 만들어낼 수 있다.

[메디컬리포트=고진아 기자]

저작권자 © 메디컬리포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