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준비를 하는 의료진(출처=셔터스톡)

'인스코프 다이렉트(Inscope Direct)'라는 명칭의 새로운 후두경을 개발되었다. 인스코프 다이렉트는 후두경과 조절 가능한 흡입관을 결합한 제품으로 의료진이 이 기기를 사용할 경우 응급 상황에서 환자에게 더욱 빠르게 삽관할 수 있게 된다.양커 석션(Yankauer suction)을 교체하지 않고도 기관 내 관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삽관 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인스코프 다이렉트는 사용이 용이하고 입 안에서 조절할 수 있는 흡입관이 달려 있기 때문에 기관 내 관을 집어넣는데 집중할 수 있다"고 인스코프 메디컬 솔루션스(Inscope Medical Solutions)의 최고 의료책임자 겸 공동창업자인 메리 낸 맬로리 박사는 말했다.

인스코프 다이렉트는 두 개의 흡입관이 달려있어 분비물로 인한 폐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성대를 통해 혈액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만들었다. 감염을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일회용 제품이며, 다른 부위를 볼 수 있도록 LED 조명도 장착되어 있다.

환자의 기도를 확실히 볼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기기를 필요로 하고 호흡관을 삽관해야 하는 어려운 과정을 요하는 응급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고 인스코프의 공동 창립자 겸 CEO인 매기 갤로웨이는 말했다.

기관 내 삽관

기관 내 삽관법(EI)는 자발적으로 호흡할 수 없는 사람에게 실시하는 응급 처치로, 기도를 열고 질식을 막는다. 일반적인 EI는 마취부터 실시하며, 환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입이나 코를 통해 기도 또는 기관에 구부러지는 플라스틱 튜브를 삽입한다. 기관 내 삽관법이 필요한 이유로는 ▲마취 또는 치료제, 산소 등의 처치를 위해 기도를 열기 위해 ▲자발적으로 숨 쉴 수 없는 환자들의 호흡을 돕기 위해 ▲환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산소 호흡기가 필요한 경우 ▲환자가 머리 부상을 입은 경우 등이 있다.

삽관법은 대부분 수술과 비슷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보통 환자가 장시간 삽관 상태에 놓인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EI와 관련된 일반적인 위험은 구강 및 후두 외상과 우발적인 식도 삽관, 기관 외상, 출혈, 삽관 시 구토, 통증, 장시간 삽관으로 인한 연조직 부상 등이 있다.

EI 전에 마취가 필요한 경우 합병증의 위험이 있으며, 이는 환자의 건강 상태에 달려있다. 그리고 수면 무호흡증이나 비만, 음식이나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음주, 흡연 등 같은 특정한 요인으로 인해 폐나 신장, 심장질환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중증의 합병증에는 폐 감염, 뇌졸중, 심장마비 등이 있으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1,000명 당 약 1~2명은 일반 마취 후 깨어난다. 통증을 느끼지 못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자각한다. 드문 경우 극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에 해당되는 환자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같은 장기적인 영향을 겪기도 한다.

기관 내 삽관의 합병증

미시건대학 메디컬센터의 로버트 C. 히지 교수는 기관 내 삽관으로 인한 합병증을 주제로 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 부종 및 염증 : EI 튜브를 제거한 후 후두염 및 부종이 유발될 수 있다. 후두 염증으로 인해 목에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말을 하거나 음식물을 삼킬 때 어려울 수 있다.

2. 점막 궤양 : EI를 4일 이상 지속할 경우 주로 발생하지만, 자가 치유될 수 있다. 그러나 치유되지 않은 궤양은 육아종으로 진행될 수 있다.

3. 육아종 : 삽관으로 성대에 육아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술이 필요하다.

4. 성대마비 : 성대마비는 EI의 드문 합병증으로 성대의 신경이 파열된 경우 발생한다. 편측 성대마비는 일반적인 경우로 쉰 목소리가 나고 말을 하는 데 피로감을 느끼며 음식물을 삼킬 때 어려움을 겪는다. 반면, 양측 성대마비는 성대가 절반 정도 막히는 증상이다.

5. 후두기관 협착증 : EI의 말기 합병증으로 처음 삽관을 한 후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 지난 뒤에 발생한다. 이 합병증은 중앙 기도가 비정상적으로 좁아지는 것이다.

6. 감염 : 여러 시간 삽관이 진행되는 동안 튜브의 안쪽에 박테리아가 붙을 수 있으며, 이는 벤틸레이터 관련 폐렴과 벤틸레이터 관련 기관지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7. 부비강염 : 삽관으로 인해 부비강의 흐름을 막으면 부비강에 염증이 생기는 부비강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8. 기관연화 : 기관 삽관이 지속되면, 기관 연골의 조직이 얇아지고 파괴되는 기관연화로 진행될 수 있다.

9. 기관 누공 : 기관 누공은 드문 사례이긴 하지만, 호흡할 수 있는 대체 기도를 만드는 수술을 해야 할 만큼 심각한 기관 절개 합병증이다. 기관 내 삽관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출혈과 기관벽 부식, 감염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메디컬리포트=김성은 기자]

저작권자 © 메디컬리포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