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HIV 환자라면 CD4+ 세포수에 관계없이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ART)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ART 약물 칵테일 요법은 HIV 확산 및 체내 감염 세포 수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 분화 클러스터 4(CD4+) 수는 HIV 환자의 생명을 의미한다. 개수가 적으면 더욱 많은 HIV 세포가 확산돼 면역체계를 파괴하고 사망 전까지 신체를 피폐하게 만든다.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HIV 감염자 약 25%가 심각한 면역 억제 반응을 겪고 있다. 이들은 일반 환자보다 CD4+ 수가 현저히 적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 10명 중 한 명꼴로 ART 요법 시작 후 세 달 안에 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HIV/AIDS 환자처럼 사망 원인이 다면적이며, 그 중에는 폐결핵과 박테리아 감염, 기타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감염증은 ART 요법 시작 시 가속화되는 것처럼 보이며, '면역재구성염증증후군(IRIS)'이 유발되기도 한다. 최저 CD4+ 수 및 병적인 체중을 동반한 감염증은 HIV환자에게 치명적이다.

최근, 리얼리티(REALITY) 임상시험 연구팀이 실시한 새로운 조사에 의하면, 더 많은 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임스 하킴 및 빅터 무지임 박사 연구팀은 ART 요법과 강화된 항균예방치료법을 결합해 CD4+ 수가 현저하게 낮은 성인과 아이들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2013년 6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우간다와 짐바브웨, 말라위, 케냐에서 실행된 임상시험 결과, 강화된 항균 예방치료를 받은 HIV 환자는 표준 예방치료를 받은 환자보다 사망률이 감소했다.

리얼리티 임상시험에 따르면, 24주차에서 강화된 항균 예방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표준 예방치료인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만 처방 받은 환자보다 사망률이 27% 낮아졌다. 48주차에서도 현상은 유지됐으며, 강화된 항균 예방치료를 받은 환자와 표준 예방치료를 받은 환자 사이에는 24% 격차가 발생했다.

사망률 감소 외에도, 강화된 항균 예방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입원율과 IRIS 발생률, 폐결핵, 크립토콕쿠스 및 칸디다 감염도 현저하게 낮아졌다. 하지만 박테리아 감염률은 두 그룹 환자 모두에게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임상시험 연구팀은 "강화된 항균 예방치료의 비용은 나라마다 8~34달러(약 9,000~3만 7,000원) 선이기 때문에,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치료비용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라며 "하지만 모든 나라, 최저에서 저소득 국가에서도 약물을 구입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임상시험 동안 모든 환자들은 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두 종류와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한 가지를 ART 와 같이 복용한다. 아울러 1:1 비율로 강화된 항균 예방치료 또는 표준 예방치료에 무작위로 할당됐다. 강화된 항균 예방치료는 ▲알벤다졸 단일 복용(400mg)과 아지트로마이신 5일 복용(1일 500mg) ▲플루코나졸 12주 복용(1일 100mg) ▲고정된 용량의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12주 복용(트리메토프림 160mg과 설파메톡사졸800mg) ▲이소니아지드(300mg) ▲피리독신(25mg)으로 구성됐다.

13세 이하 어린이는 알벤다졸을 제외하고 모두 용량을 반으로 줄였다. 표준 예방치료는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로만 구성됐다.

임상시험은 48주 동안 진행됐다. 2·4·8·12·18·24·36·48주차에 간호사들은 환자를 조사했다. 조사 내용에는 임상시험 유지 여부 및 임상시험 약물 처방 등이 포함됐다. 이외에도 신체검사, 신장 기능 평가, CD4+ 개수 확인 등이 진행됐다.

하지만 임상시험 시작 후 24주 및 48주의 최초 결과는 사망이었다. 다른 환자들도 입원을 하거나, 폐결핵 혹은 다른 감염증에 걸렸거나 체중감소 및 기타 부작용이 나타났다.

임상시험팀은 테스트했던 강화된 예방치료법에는 CD4+ 개수가 현저하게 낮은 HIV 감염자들을 위한 ART 상담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들은 "이번 연구로 사망률은 상당히 낮출 수 있었지만, 약품의 비용을 저렴하게 낮춰 1차 의료 기관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며 "부작용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줄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디컬리포트=심현영 기자]

저작권자 © 메디컬리포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