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으로 인해 두려워하는 여성(출처=셔터스톡)

과거에는 정신분열증이라 불리던 조현병(Schizophrenia)은 심각한 만성 정신 질환으로,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구분할 수 없는 병이다. 이 병은 개인의 행동, 감정, 사고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또 이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계속해서 약물을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평균 수명이 감소한다.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현병이 중추 신경계 장애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적인 문제를 유발한다.

조현병은 신체와 정신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에 따르면 조현병은 망각, 환각, 말하기 어려움, 감정 표현 부족 등의 증상을 보이는 정신 장애로 대체로 16~30세 사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조현병의 2차적인 영향은 생활 습관 변화, 항정신이상 약물로 인한 변화 등이다. 과음, 식이 부족, 운동 부족, 약물 남용 등의 생활 습관은 환자의 신체적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또 약물 중독으로 인한 근육 떨림이나 경련, 체중 증가 등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 당뇨, 콜레스테롤 증가 등으로 건강 상태가 악화된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정신병 치료약을 복용하지 않은 조현병 환자도 신체 기능이 감소하고 건강이 악화됐다. 킹스칼리지 런던의 연구진이 정신병이 신체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했다.

우선 연구진은 중추 신경계 및 비중추 신경계의 증상 호르몬 수치, 심장 질환 위험도,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와 포도당 수치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했다. 그리고 뇌 구조, 뇌내 화학 물질 수준, 뇌 활동 등을 분석했다.

연구진이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뇌 내부의 변화가 뇌 외부의 변화와 비슷했다. 즉 조현병이 뇌 등 중추 신경계뿐만 아니라 신체의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것은 신체 건강 문제의 메커니즘이 두뇌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1. 뇌 변화 : 뇌는 신체의 중심 작동 단위이며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다. 그러나 뇌의 특정 변화는 중추 신경계 외부의 신체 기관에 수많은 생리 효과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특이한 종류의 암은 면역 체계를 작동시키고 항체를 생산해 뇌를 공격한다. 이런 항체로 인한 뇌 손상은 환자의 정신병을 유발한다. 연구진은 뇌의 비정상적인 변화가 잠재적으로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전했다.

▲두뇌의 자기 공명 영상(MRI)(출처=셔터스톡)

2. 신체적 건강 장애 : 조현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종종 정신병적 증상을 보인다. 표면적으로 볼 때 정신병적 증상은 심리적 증상처럼 여겨지지만 증상이 심할 때 환자의 체내에서는 코티솔 수치가 상당히 증가한다. 코티솔은 당뇨병, 고혈압 및 의도하지 않은 체중 증가를 포함한 특정 신체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호르몬이다. 즉 정신병으로 인해 발생한 체내 화학 물질이 신체 건강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다.

3. 단일 공통 요인 : 또 다른 가능한 설명은 조현병과 관련된 신체적 질병 사이의 공통적인 요소다. 예를 들어 영양 실조는 조현병과 당뇨병 사이의 영양 결핍 원인으로 작용한다. 임신 중 영양 실조에 걸리면 태아의 두뇌에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되지 않아 태아가 조현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동시에 태아의 신체에서 포도당 대사가 변화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

연구진은 신체의 질병이 조현병의 원인이 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어쩌면 미래에는 신체적 변화와 질병을 치료해 조현병을 예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현재 정신적인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의 조기 사망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심혈관 질환이다.

조현병 치료법

현재는 조현병 환자에게 항정신이상 약물을 투여하거나 심리 사회적 치료를 받도록 한다. 심리 사회적 치료란 정신적 질병의 증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훈련하거나 도움을 주는 대처 기술을 가르치는 치료법이다.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일상 생활을 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조정 치료는 심리 사회 요법, 사례 관리, 가족 지원 및 고용 서비스로 구성된 패키지 치료다. 이 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증상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유발된 신체 질병으로 장애인이 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메디컬리포트=강민경 기자]

저작권자 © 메디컬리포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